AF 기능 사용자 설정하기

AF 기능을 사용자의 촬영 스타일이나 피사체에 맞게 상세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.

뷰파인더 촬영

[AF2]

AI 서보 첫 번째 이미지 우선

AI 서보 AF를 사용한 첫 번째 촬영의 AF 동작 특성과 셔터 릴리즈 타이밍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

  • [밸런스 우선] 밸런스 우선

    초점과 셔터 릴리즈 타이밍 간의 균형을 우선시합니다.

  • [릴리즈 우선] 릴리즈

    셔터 버튼을 누르면 초점이 맞지 않아도 즉시 사진을 촬영합니다. 초점을 맞추는 것보다 결정적인 순간을 촬영하는 데 우선 순위를 둘 때 효과적입니다.

  • [초점 우선] 초점

    셔터 버튼을 눌러도 초점이 맞을 때까지 사진을 촬영하지 않습니다. 사진을 촬영하기 전 먼저 초점을 맞추고 싶은 경우에 유용합니다.

AI 서보 두 번째 이미지 우선

AI 서보 AF로 연속 촬영 시 연속 촬영에서 첫 번째 사진 이후의 촬영에 대한 AF 작동 방식과 셔터 릴리즈 타이밍을 사전에 설정할 수 있습니다.

  • [0] 밸런스 우선

    초점과 연속 촬영 속도 간의 균형을 우선시합니다. 어둡거나 콘트라스트가 낮은 피사체는 연속 촬영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.

  • [–2]/[–1] 촬영 속도 우선 촬영 속도 우선

    초점을 맞추는 것보다 연속 촬영 속도에 우선 순위를 둡니다. -2를 설정하면 -1 설정보다 빠른 연속 촬영 속도를 유지합니다.

  • [+2]/[+1] 초점 우선 초점

    연속 촬영 속도보다 초점을 맞추는 것을 우선으로 합니다. 피사체에 초점이 맞을 때까지 사진이 촬영되지 않습니다. +2를 설정하면 저조도에서 +1보다 쉽게 초점을 맞출 수 있으나, 이러한 조건에서는 연속 촬영 속도가 느릴 수 있습니다.

주의

  • 플리커 저감 ()이 작동하는 촬영 조건에서는 [-1] 또는 [-2]를 설정해도 연속 촬영 속도가 느려지거나 촬영 간격이 불규칙해질 수 있습니다.

참조 사항

  • 저조도 환경에서 [0: 밸런스 우선]을 설정했을 때 초점을 맞출 수 없는 경우 [+1] 또는 [+2]를 설정해 보십시오.

[AF3]

전자식 풀타임 MF

특정 렌즈를 부착했을 때 전자식 포커싱 링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초점을 조정하는 동작을 사용자 설정할 수 있습니다. 호환 렌즈에 관한 내용은 캐논 웹사이트를 참조하십시오.

  • 해제

    수동으로 초점을 조정하는 동작은 [렌즈 전자식 MF] 설정을 따릅니다.

  • 설정

    카메라 조작이 가능할 때마다 수동으로 초점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(풀타임 수동 초점).

렌즈 전자식 MF

전자식 수동 포커싱 기능이 있는 EF 렌즈 사용 시 One-Shot AF로 수동 초점을 어떻게 조정할지 지정할 수 있습니다.

  • [One-Shot AF 불가능] One-Shot AF 후 해제

    AF 동작 이후에는 초점 수동 조정이 불가능합니다.

  • [One-Shot→설정] One-Shot→설정

    셔터 버튼을 반누름한 상태로 유지하면 AF 동작 후에 초점을 수동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.

  • [One-Shot→설정 (확대)] One-Shot→설정 (확대)

    셔터 버튼을 반누름한 상태로 유지하면 AF 동작 후에 초점을 수동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. 라이브 뷰 촬영 시에는 초점이 맞은 영역을 확대하고 렌즈 포커싱 링을 돌려도 수동으로 초점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.

  • [AF 모드에서 불가능] AF모드에서 불가능

    렌즈의 포커스 모드 스위치를 자동 초점로 설정하면 수동 초점 조정이 불가능합니다.

주의

  • [One-Shot→설정 (확대)]을 지정했을 때 촬영 직후 셔터 버튼을 반누름한 상태에서 렌즈 포커싱 링을 돌려도 디스플레이가 확대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 이 경우에는 셔터 버튼에서 손을 떼고 확대/축소 디스플레이가 표시된 후 셔터 버튼을 반누름하면서 렌즈 포커싱 링을 돌리면 디스플레이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습니다.

참조 사항

  • 렌즈의 수동 초점 사양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렌즈의 사용 설명서를 참조하십시오.

AF보조광

EOS 카메라용 스피드라이트의 AF 보조광을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습니다.

  • [ON] 설정

    필요시 AF 보조광이 발광하도록 설정합니다.

  • [OFF] 해제

    AF 보조광의 발광을 해제합니다. AF 보조광을 사용하지 않으려면 이 설정을 선택하십시오.

  • [IR] 적외선 AF 보조광만 사용

    적외선 AF 보조광 발광 기능이 있는 외부 스피드라이트 장착 시 적외선 AF 보조광을 발광합니다.

주의

  • 스피드라이트의 [AF보조광] 사용자 정의 기능을 [해제]로 설정하면 AF 보조광이 발광하지 않습니다.

One-Shot AF 릴리즈 우선

One-Shot AF의 AF 동작 특성과 셔터 릴리즈 타이밍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

  • [초점] 초점

    피사체에 초점이 맞을 때까지 사진이 촬영되지 않습니다. 사진을 촬영하기 전 먼저 초점을 맞추고 싶은 경우에 유용합니다.

  • [릴리즈 우선] 릴리즈

    초점보다 셔터 릴리즈를 우선시합니다. 결정적인 순간을 포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경우 사용하면 효과적인 기능입니다.

    이 옵션에서는 카메라가 피사체에 초점이 맞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촬영합니다.

[AF4]

피사체 추적 설정

AF 포인트를 다른 피사체로 변경해 추적하는 것뿐만 아니라 추적 대상인 주 피사체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조건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.

뷰파인더 촬영 시에는 존 AF/대형 존 AF/자동 선택 AF 영역 선택 모드에, 라이브 뷰 촬영 시에는 얼굴+트래킹/존 AF/대형 존 AF (수직 또는 수평) AF 방식에 적용됩니다.

  • AF 우선 (사람)

    • 해제

      추적할 주 피사체가 피사체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됩니다.

    • 설정

      피사체 정보를 기반으로 사람의 얼굴이나 머리가 추적할 주 피사체로 우선시됩니다.

      사람의 얼굴이나 머리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에는 카메라가 다른 신체 부위를 추적할 수도 있습니다.

  • 피사체 전환

    • 초기 우선

      처음 AF 대상으로 결정된 피사체를 가능한 한 계속 추적합니다.

    • 피사체 연속 추적

      기본적으로 처음 AF 대상으로 결정된 피사체를 추적합니다. 그러나 현재 피사체가 더 이상 AF에 적합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른 피사체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.

    • 피사체 전환

      촬영 조건에 대응하여 다른 피사체로 변경하여 추적합니다.

    주의

    • [초기 우선] 설정 시 주의 사항

      일부 피사체 조건에서는 카메라가 피사체를 계속 추적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.

      • 피사체가 격렬하게 움직이는 경우
      • 피사체의 방향이나 자세가 바뀌는 경우
      • AF 포인트가 피사체에서 벗어나는 경우 또는 피사체가 장애물에 가려 더 이상 보이지 않는 경우

      [AF 우선 (사람)]을 [설정]으로 지정하면 카메라가 피사체 조건에 따라 얼굴이나 머리로 초점을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.

    • 터치로 선택된 피사체의 경우 카메라가 [피사체 추적 설정] 옵션과 관계없이 가능한 한 추적을 계속합니다.

AF작동 불능시 렌즈 구동

피사체에 대한 오토포커싱이 불가능할 때 적용되는 렌즈 구동 방식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.

  • [ON] 초점검출 설정

    자동 초점으로 초점을 맞출 수 없는 경우 렌즈가 계속 구동하여 초점을 정확하게 검출합니다.

  • [OFF] 초점검출 해제

    자동 초점을 시작한 후 초점이 많이 벗어나거나 초점을 맞출 수 없는 경우 렌즈가 구동을 멈춥니다. 초점 검출 구동으로 인해 렌즈의 초점이 크게 벗어나는 것을 방지합니다.

주의

  • 초망원 렌즈나 넓은 초점 영역에서 구동하는 기타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[초점검출 해제]로 설정하여 초점이 크게 어긋났을 때 구동하는 초점 검출로 인해 발생하는 딜레이를 방지할 것을 권장합니다.

선택 가능한 AF 포인트

수동 선택 시 사용할 AF 포인트의 수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. 존 AF, 대형 존 AF 또는 자동 선택 AF의 오토포커싱은 [선택 가능한 AF포인트] 설정과 관계없이 해당 AF 영역 선택 모드를 사용합니다.

  • [전체 포인트] 전체 포인트

    모든 AF 포인트를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.

  • [크로스 AF 포인트만] 크로스 AF 포인트만

    크로스 타입 AF 포인트만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. AF 포인트의 수는 사용하는 렌즈에 따라 다릅니다.

  • [61 포인트] 61 포인트

    61개의 주요 AF 포인트만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.

  • [15 포인트] 15 포인트

    15개의 주요 AF 포인트만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.

  • [9 포인트] 9 포인트

    9개의 주요 AF 포인트만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.

주의

  • 일부 렌즈에서는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는 AF 포인트의 수가 더 적을 수 있습니다.

참조 사항

  • [전체 포인트] 이외의 설정도 AF 포인트 확장 (수동 선택AF 포인트 확장) 또는 AF 포인트 확장 (수동 선택: 주변), 존 AF 및 대형 존 AF와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.
  • 수동 선택이 불가능한 AF 포인트는 AF 포인트 선택 버튼을 눌렀을 때 뷰파인더에 표시되지 않습니다.

AF 영역 선택 모드 선택

선택 가능한 AF 영역 선택 모드를 촬영 스타일에 맞게 제한할 수 있습니다. 원하는 AF 영역 선택 모드를 선택하고 SET을 눌러 체크 표시 [체크 표시]를 추가하십시오. [OK]를 선택하면 설정이 등록됩니다. AF 영역 선택 모드에 관한 내용은 AF 영역 선택 모드 (뷰파인더 촬영)를 참조하십시오.

주의

  • [수동 선택:1 포인트 AF]에서는 [체크 표시] 표시를 제거할 수 없습니다.
  • [AF 영역 선택 모드 선택]에서 체크 표시 [체크 표시]를 추가해도 특정 렌즈에서는 일부 AF 영역 선택 모드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.

AF 영역 선택 방법

AF 영역/AF 방식 선택 모드를 변경하는 방식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

  • [M-Fn 버튼] AF 포인트 선택→M-Fn 버튼

    AF 포인트 선택 버튼을 누른 후 다중 기능 버튼을 누르면 AF 영역/AF 방식 선택 모드가 변경됩니다.

  • [메인 다이얼] AF 포인트 선택→메인 다이얼

    AF 포인트 선택 버튼을 누른 후 메인 다이얼 다이얼을 돌리면 AF 영역/AF 방식 선택 모드가 변경됩니다.

참조 사항

  • [AF 포인트 선택→메인 다이얼]로 설정했을 때는 멀티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AF 포인트를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.

방향이 링크된 AF 포인트

세로 촬영과 가로 촬영에서 사용할 개별 AF 포인트를 설정하거나 개별 AF 포인트 또는 개별 AF 영역 선택 모드를 모두 설정할 수 있습니다.

  • [방향이 링크된 AF 포인트] 수직/수평 동일

    가로 및 세로 촬영 모두에 동일한 AF 영역 선택 모드와 수동으로 선택한 AF 포인트 (또는 존)를 사용합니다.

  • [개별 AF 포인트 (다중 기능+AF 포인트 선택)] 개별AF포인트:영역+포인트

    각 카메라 방향에 개별 AF 영역 선택 모드 및 AF 포인트 (또는 존)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((1) 가로 방향, (2) 그립이 상단인 세로 방향, (3) 그립이 하단인 세로 방향).

    세 가지 카메라 방향에 AF 영역 선택 모드와 AF 포인트 (또는 존)를 수동으로 선택하면 해당 설정이 각 방향별로 등록됩니다. 촬영 시 카메라 방향을 변경할 때마다 카메라가 해당 AF 영역 선택 모드와 수동 선택한 AF 포인트 (또는 존)로 전환합니다. 라이브 뷰 촬영 시 동작은 [개별AF포인트:포인트만]과 동일합니다.

  • [개별 AF 포인트 (AF 포인트 선택)] 개별AF포인트:포인트만

    각 카메라 방향에 개별 AF 포인트 (또는 존) 위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((1) 가로 방향, (2) 그립이 상단인 세로 방향, (3) 그립이 하단인 세로 방향). 카메라 방향에 따라 다른 위치의 AF 포인트 (또는 존)로 자동 전환될 때 사용하면 유용한 옵션입니다.

    세 가지 카메라 방향의 각 방향에 할당된 AF 포인트 (또는 존)는 유지됩니다.

주의

  • [설정: 카메라 설정 초기화]에서 [개별 설정 초기화]의 [기본 설정]을 선택하면 [수직/수평 동일]이 초기 설정값으로 돌아갑니다 (). 방향 (1) – (3)의 설정값이 해제되며 카메라는 1 포인트 AF에서 중앙 AF 포인트를 사용하도록 설정됩니다.
  • 렌즈를 변경하면 설정이 해제될 수 있습니다.

초기서보AF포인트, 자동 선택 AF/얼굴피사체 추적하기

AF 영역 선택 모드를 [자동 선택 AF]로 설정하거나 AF 방식을 [얼굴+트래킹]으로 설정하면 AI 서보 AF/서보 AF의 초기 AF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.

  • AUTO: 자동

    AI 서보 AF/서보 AF의 초기 AF 포인트가 촬영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됩니다.

  • [자동 선택 AF/얼굴+트래킹용 초기 AF 포인트 ] 자동 선택 AF/얼굴피사체 추적하기용 초기 AF포인트

    AF 영역 선택 모드를 [자동 선택 AF]로 설정하거나 AF 방식을 [얼굴+트래킹]으로 설정하면 AI 서보 AF/서보 AF가 수동으로 설정한 AF 포인트에서 시작됩니다.

  • [스팟 AF용 AF 포인트, 1 포인트 AF, AF 포인트 확장, AF 포인트 확장 (수동 선택: 주변)] 1 포인트 스팟 AF1 포인트 AFAF 포인트 확장AF 포인트 확장 (수동 선택: 주변)용 AF 포인트

    AI 서보 AF/서보 AF가 스팟 AF, 1 포인트 AF, AF 포인트 확장 (수동 선택 AF 포인트 확장) 또는 AF 포인트 확장 (수동 선택: 주변)에서 [자동 선택 AF]나 [얼굴+트래킹]으로 변경하기 전에 수동으로 설정한 AF 포인트에서 시작됩니다. [자동 선택 AF] 또는 [얼굴+트래킹]으로 변경하기 전의 AF 포인트에서 AI 서보 AF/서보 AF를 시작할 때 유용합니다.

참조 사항

  • [단일 포인트 스팟 AF1 포인트 AFAF 포인트 확장AF 포인트 확장 (수동 선택: 주변)용 AF 포인트]를 설정하면 AF 영역 선택 모드를 존 AF 또는 대형 존 AF로 전환하거나 AF 방식을 존 AF 또는 대형 존 AF (수직 또는 수평)로 전환하더라도 AI 서보 AF/서보 AF가 수동으로 선택한 AF 포인트에 해당하는 존에서 시작합니다.

[AF5]

AF 포인트 선택 이동

AF 포인트를 선택할 때 가장 바깥쪽의 AF 포인트에서 선택이 끝나게 할지, 반대쪽의 첫 번째 AF 포인트까지 계속되게 할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.

  • [AF영역 가장자리에서 멈춤] AF영역 가장자리에서 멈춤

    가장 바깥쪽의 AF 포인트를 자주 사용하는 경우에 유용합니다.

  • [AF 포인트 선택 이동 (연속)] 연속

    AF 포인트 선택이 가장자리에서 멈추지 않고 반대쪽까지 계속됩니다.

참조 사항

  • [자동 초점: 초기서보AF포인트, 자동 선택 AF/얼굴피사체 추적하기]를 [자동 선택 AF/얼굴피사체 추적하기용 초기 AF포인트]로 설정하여 AI 서보 AF의 초기 AF 포인트를 선택했을 때도 적용됩니다.

포커싱 중 AF측거점 표시

자동 초점 중 (AF 시작 및 AF 중, 피사체에 초점이 맞았을 때, 초점이 맞은 후 측광 타이머가 작동할 때) AF 포인트를 표시할지의 여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.

○: 표시, ×: 표시되지 않음
포커싱 중 AF측거점 표시

AF 포인트

선택됨

AF 시작 전

(촬영 대기)

AF 시작 시
선택 AF 포인트 ×
전체 AF 포인트 ×
선택포인트 (초점, 측광 타이머 ON) ×
선택 AF포인트 (초점) ×
표시 해제 × ×
포커싱 중 AF측거점 표시 AF 시 초점이 맞았을 때

포커싱 후 측광 타이머 작동 시

선택 AF 포인트
전체 AF 포인트
선택포인트 (초점, 측광 타이머 ON) ×
선택 AF포인트 (초점) × ×
표시 해제 × × ×

주의

  • AF 포인트의 표시는 존 AF, 대형 존 AF, 자동 선택 AF마다 다르며 각각 존 AF 프레임, 대형 존 AF 프레임, 또는 에리어 AF 프레임이 표시됩니다.

AF 포인트 밝기

뷰파인더의 AF 포인트 밝기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.

파인더내 AF 작동 표시

AF 작동 표시를 시야 내 또는 시야 외에 표시할 수 있습니다.

  • [시야 내 표시] 시야 내 표시

    AF 상태 표시등 가 뷰파인더의 시야 내 우측 하단에 표시됩니다.

  • [시야 외 표시] 시야 외 표시

    AF 상태 표시등 가 뷰파인더 시야 밖의 초점 표시등 초점 표시등 아래에 표시됩니다.

참조 사항

AF 미세 조정

AF의 초점 포인트를 미세 조정할 수 있습니다. 자세한 내용은 AF 미세 조정을 참조하십시오.

기타 메뉴 기능

라이브 뷰 촬영

다음은 라이브 뷰 촬영 시에만 사용 가능한 메뉴에 관한 설명입니다.

[AF1]

연속 AF

연속 AF는 피사체에 초점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. 셔터 버튼을 반누름하면 카메라가 바로 초점을 맞출 준비를 합니다. [설정]으로 지정하면 렌즈가 계속 구동되어 배터리 전원이 소모되므로 촬영 가능한 매수가 줄어듭니다.

[AF5]

AF 방식 제한

AF 방식 중 사용하고자 하는 AF 방식만 제한하여 설정할 수 있습니다. AF 방식을 선택하고 SET을 눌러 체크 표시 [체크 표시]를 추가하면 사용이 가능해집니다. [OK]를 선택하면 설정이 등록됩니다. AF 방식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AF 방식 선택하기 (라이브 뷰 촬영)를 참조하십시오.

주의

  • [1 포인트 AF]에서는 [체크 표시] 표시를 제거할 수 없습니다.

동영상 녹화

다음은 동영상 녹화 시에만 사용 가능한 메뉴에 관한 설명입니다.

[AF1]

동영상 서보 AF

이 기능을 설정하면 카메라가 동영상 녹화 중 피사체에 연속으로 초점을 맞춥니다.

  • [설정]

    • 셔터 버튼을 반누름하지 않아도 카메라가 계속하여 피사체에 초점을 맞춥니다.
    • 초점을 특정 위치에 유지하거나 렌즈의 기계음이 기록되지 않게 하고 싶은 경우 화면 좌측 하단의 [동영상 서보 AF]를 탭하면 동영상 서보 AF를 일시적으로 중단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[사용자 정의 기능6: 조작버튼 사용자 설정]의 [동영상 서보 AF 일시 정지] ()를 할당한 버튼을 누르면 동영상 서보 AF가 중단됩니다. 해당 버튼을 다시 누르면 동영상 서보 AF가 재개됩니다.
    • [AF 멈춤] ()을 할당한 버튼을 누른 상태로 유지하면 동영상 서보 AF가 중단됩니다. 해당 버튼에서 손을 떼면 동영상 서보 AF가 재개됩니다.
    • 동영상 서보 AF가 중단되어 있을 때 MENU 또는 재생 버튼을 누르거나 AF 방식을 변경하는 등의 다른 조작을 한 후에 동영상 녹화로 돌아가면 동영상 서보 AF가 자동으로 재개됩니다.
  • [해제]

    셔터 버튼을 반누름하거나 AF 시작 버튼을 누르면 초점을 맞춥니다.

주의

  • [동영상 서보 AF: 설정]으로 지정 시

  • 초점을 맞추기 어려운 촬영 조건

    • 카메라 쪽으로 빠르게 다가오거나 빠르게 멀어지는 피사체
    • 카메라와 가까운 거리에서 움직이는 피사체
    • 높은 조리개 값으로 촬영하는 경우
    • AF 영역 선택 모드 (뷰파인더 촬영) 섹션에서 초점을 맞추기 어려운 촬영 조건도 참조하십시오.
  • 렌즈가 계속 작동하여 배터리 전원이 소모되므로 동영상 녹화 가능 시간 ()이 단축됩니다.
  • 동영상 녹화 중 AF를 조작하거나 카메라 또는 렌즈를 제어하면 카메라의 내장 마이크에 렌즈의 기계음이나 카메라/렌즈 작동음이 기록될 수 있습니다. 이 경우에는 외부 마이크를 사용하면 이러한 소음을 줄일 수 있습니다. 외부 마이크를 사용해도 소음이 계속 발생하는 경우에는 외부 마이크를 카메라에서 분리하여 카메라와 렌즈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두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.
  • 줌이나 확대 보기 중에는 동영상 서보 AF 동작이 일시적으로 중단됩니다.
  • 동영상 녹화 중 피사체가 다가오거나 멀어지는 경우, 또는 카메라를 가로나 세로로 움직이는 경우 (패닝)에는 기록되는 동영상 이미지가 일시적으로 확대되거나 축소 (이미지 배율 변화)될 수 있습니다.

[AF3]

동영상 서보 AF 속도

동영상 서보 AF의 AF 속도와 동작 조건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 이 기능은 동영상 녹화 시 슬로 포커스 전환을 지원하는 렌즈*에서 작동합니다.

  • 활성시

    [상시]로 설정하여 동영상 녹화 시 (동영상 녹화 전 또는 녹화 중) AF 속도가 항상 작동하게 하거나 [촬영 중]으로 설정하여 동영상 녹화 중에만 AF 속도가 작동하게 할 수 있습니다.

  • AF 속도

    AF 속도 (초점 전환 속도)를 표준 속도 (0)에서 느리게 (7단계 중 하나) 또는 빠름 (2단계 중 하나)으로 조정하여 동영상에 원하는 효과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.

* 동영상 녹화 시 슬로 포커스 전환을 지원하는 렌즈

2009년과 그 이후 출시된 USM 및 STM 렌즈와 호환됩니다. 자세한 내용은 캐논 웹사이트를 참조하십시오.

주의

  • 일부 렌즈의 경우 AF 속도를 조정해도 속도가 변경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
참조 사항

  • [자동 초점: 동영상 서보 AF]를 [설정]으로 지정하고 [자동 초점: AF 방식]을 [스팟 AF] 또는 [1 포인트 AF]로 설정했을 때 사용 가능합니다.
  • [자동 초점: AF 방식]을 [스팟 AF] 또는 [1 포인트 AF] 이외의 옵션으로 설정했을 때의 효과는 [AF 속도]를 [표준(0)]으로 설정했을 때와 동일합니다.
  • [자동 초점: 동영상 서보 AF 속도]의 오른쪽에 표시된 별표 "*"는 설정값이 초기 설정에서 변경되었음을 의미합니다.

동영상 서보 AF 추적 감도

동영상 서보 AF 사용 시 방해물이 AF 포인트를 가로지르거나 패닝하여 AF 포인트에서 멀어지는 피사체에 대응하는 데 영향을 주는 추적 감도를 조정 (7단계 중 하나)할 수 있습니다.

  • 피사체에 고정: -3/-2/-1

    이 설정에서는 주 피사체가 AF 포인트에서 멀어져도 대부분의 경우 카메라가 다른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지 않습니다. 마이너스 (-) 기호에 가깝게 설정할수록 카메라가 다른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지 않습니다. 패닝 시나 방해물이 AF 포인트를 가로지를 때 AF 포인트가 원래 의도한 피사체가 아닌 다른 물체를 추적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할 때 사용하면 효과적입니다.

  • 즉시 반응: +1/+2/+3

    이 설정은 AF 포인트를 커버하는 피사체를 추적할 때 카메라가 더욱 잘 반응하도록 합니다. 플러스 (+) 기호에 가깝게 설정할수록 카메라의 반응성이 높아집니다. 카메라와의 거리가 변하는 동안 움직이는 피사체를 추적하거나 재빨리 다른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고 싶을 때 효과적입니다.

참조 사항

  • [자동 초점: 동영상 서보 AF]를 [설정]으로 지정하고 [자동 초점: AF 방식]을 [스팟 AF] 또는 [1 포인트 AF]로 설정했을 때 사용 가능합니다.
  • [자동 초점: AF 방식]을 [스팟 AF] 또는 [1 포인트 AF] 이외의 옵션으로 설정했을 때의 효과는 [0]으로 설정했을 때와 동일합니다.